나누고 싶은 이야기
스승이 제자에게 묻는다.
"만약 누군가의 화살에 맞으면 아프겠는가?“"
제자가 대답한다.
"아픕니다."
스승이 다시 묻는다
"만약 똑같은 자리에 두 번째 화살을 맞으면 더 아프겠는가?"
제자가 말한다.
"몹시 아픕니다."
그러자 스승이 말한다.
"살아 있는 한 누구나 화살을 피할 수 없다. 그러나 그 일로 인한 감정적 고통은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."
첫 번째 화살은 실제로 일어난 사건이고, 두 번째 화살은 그 사건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다. 상실과 실패와 재난은 누구의 삶에나 일어난다.
그러나 고통의 대부분은 실제의 사건 그 자체보다 그것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더 심화된다.
인생이 고통이라고 말하지만, 우리가 가장 많이 맞는 화살은 스스로 자신에게 쏘는 두 번째 화살이다.
첫 번째 화살을 맞을 때마다 우리는 즉각적으로 두 번째 화살을 자신에게 쏘기 시작하며, 이 두 번째 화살이 첫 번째 화살의 고통을 몇 배나 증폭시킨다.
화살에 맞으면 아픔을 느끼되 그 아픔을 과장하지 말라고 충고했다. 병이 난 제자를 찾아가서도 아파하되 그 아픔에 깨어 있으라고 가르쳤다.
상처에 너무 상처받지 말 것, 실망에 너무 실망하지 말 것, 아픔에 너무 아파하지 말 것- 이것이 두 번째 화살을 피하는 방법이다.
잠시 아플 뿐이고, 잠시 화가 날 뿐이고, 잠시 슬플 뿐이면 되는 것이다. 그 순간이 지나면 우리는 다시 맑고 투명해진다.
우리는 첫 번째 화살에 반응을 보이는 데는 익숙하지만, 두 번째 화살을 다루는 데는 매우 서툴다. 칼루 린포체는 말한다.
”용서는 나에게 상처를 준 사람을 해방시켜 주는 일이 아니다. 그 사람을 향한 원망과 분노와 증오에서 나 자신이 해방되는 일이다.“
첫 번째 화살을 맞는 것은 사실 큰일이 아니다. 그 화살은 우리의 선택에 달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.
첫 번째 화살 때문에 자신에게 두 번째 화살을 쏘는 것이 더 큰 일이다.
이 두 번째 화살을 피하는 것은 마음의 선택에 달려 있다. 외부의 일에 자신의 삶을 희생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이다.
자신이 원치 않는 일들이 일어날 때마다 이것을 기억해야 한다.
"나는 나 자신에게 두 번째 화살을 쏠 것인가?"
- 류시화 님의⟪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⟫중에서-
댓글